스토아 학파1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에피쿠로스 학파vs스토아학파의 철학적 논쟁 쾌락주의로 인식되는 에피쿠로스 학파는 현재의 쾌락을 중시하는 쾌락주의자로 이해되지만, 에피쿠로스 학파는 공동체적 삶과 평온하고 무소유적인 삶을 추구했다. 반면 스토아학파는 결정론적이고 인과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기에 질서에 따르고 금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이 행복에 다다르는 길이라고 보았다. 헬레니즘 철학 플라톤이 죽고 수십 년이 지난 후, 그리스 세계는 마케도니아에 의해 제패되며 헬레니즘 시대를 맞는다. 혼란과 불안의 헬레니즘 시대 속에서 그리스 철학은 현실의 욕망과 감정을 억제함으로써 행복을 찾으려는 스토아학파와 현재의 쾌락을 추구하는 에피쿠로스 학파가 대표적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철학적으로 성숙하지만 국가가 사라진 그리스인은 스스로에게 의지하는 철학을 추구하게 된다. 세계.. 2022. 8.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