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분 교양/정치4

진보는 왜 답답할까? 진보주의자의 특성 이해하기 진보주의는 자신의 관점과 상대방의 입장도 고려해 변화를 추구하는 이데올로기다. 진보주의자는 새로운 경험에 더 개방적이고 전통과 관습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개방성과 진보의 관계는 성별과 키 사이의 관계와 같다. 진보주의적 특성 전대상피질은 전두엽의 일부로 전전두피질과 관련되어 있다. 전대상피질은 교정 반응이 요구되는 실수나 오류를 범했을 때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교정 반응은 인지 통제, 무의식적 반응을 요구하는 신중하고 계획적인 사고 과정에 필수적이다. 진보주의자들은 보수주의자들보다 전대상피질에 회백질이 더 많다. 이는 오류 감지, 모순 감시, 인지 통제에 관련되기 때문에, 진보주의자들은 보수주의자들보다 인지 유연성이 크다. 따라서 진보주의자들 대부분은 과학자가 많다. 과학은 증거에 의해 구축.. 2022. 8. 1.
똑똑한 바보들? 보수주의자는 왜 잘못된 신념을 고수하는가 보수주의자들은 공포를 관장하는 편도체가 더 크기 때문에 애매모호하고 불확실한 것을 못 참는다. 불확실성과 두려움을 해결하고 싶은 무의식적 욕구로 보수주의자는 확실하고 안정적인 것을 믿고 고수함으로써 불확실성을 해결하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 동기화된 추론 사고와 추론 위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진화는 이미 존재하는 심리 메커니즘을 덧대고 조금씩 수정해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진화 과정상 인간의 뇌에도 오래된 뇌가 밑바닥에 깔려있고 새로운 뇌가 덮는 형태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판단도 포유류와 동일한 감정 회로가 우선적으로 작동하고 나중에 진화한 이성적인 뇌는 나중에 작동한다. 피질 하부 또는 대뇌 변연계는 오래된 뇌에 속하며, 감정적이고 자동적 반응을 담당한다. 반면 전전두 피질 같이 인간에게 특화된 새.. 2022. 7. 30.
사회적, 정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낮은 이유 광화문과 종로에선 매일 시위와 집회가 벌어진다. 정치적 이슈를 두고 보수와 진보 간 몸싸움도 자주 벌어진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 모두 상대방 정당과 지지자들의 어리석음과 위선을 조롱한다. 보수와 진보는 왜 그렇게 서로를 미워할까? 같은 주제에 대해 왜 그렇게 입장 차가 크고, 서로를 이해하지 못할까? 자신들이 틀렸다는 생각은 절대 못 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는 서로가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 틀렸다고 믿는다.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어디를 가나 정치인들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싸운다. 한국 말고도 정치인들의 멱살잡이는 흔하게 볼 수 있다. 인종과 문화, 국가를 막론하고 보수와 진보는 서로를 싫어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의 이념과 논리체계는 너무나 탄탄해서 토론은 절대 합의에 도달하.. 2022. 7. 23.
왜 민주주의는 서양에서 발달했을까 서양에서 민주주의가 발달한 근본적 원인은 지리에 있다. 지중해에서 어업과 상업에 종사하던 해양 문명에서 자연스럽게 개인주의적이고 평등한 사고방식이 발달했기에 민주주의가 제도로 정착될 수 있었다. 왜 민주주의는 서양에서 발달했을까. 서양 문화권은 대부분 민주주의가 잘 정착되어 있다. 반면 동양에서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 나라는 몇 되지 않는다. 민주주의 제도는 가지고 있지만, 일본처럼 일당 독재거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선 독재자가 몇 십년 동안 지배하는 경우도 많다. 사실 민주주의는 보편적인 국가 형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야 민주주의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문화권에선 민주주의가 당연한 것이 아니다. 인류 역사를 통틀어 봐도 왕정 국가가 대부분이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중동과 이슬람 문화권에선..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