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4 글을 잘쓰고 싶다면? 문장의 구조부터 배우자 글쓰기는 단순히 많이 쓴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기본을 충실히 쌓아놔야 합니다. 우선, 문장 구조를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자신의 문장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있고 고칠 수 있죠. 초고를 고치는 퇴고 과정이 사실상 글쓰기의 핵심입니다. 보통 좋은 글을 한 번에 써야 한다고 사람들이 생각하지만, 좋은 글은 꼼꼼하게 써놓은 글을 고치는 과정에서 나옵니다. 나와 그녀는 진정으로 사랑했다. - 이 말은 자연스러운 문장인가요? 대부분 자연스럽다고 느끼겠지만, 이 문장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왜 그럴까요? 서술어에 주목해봅시다. '사랑하다'라는 단어가 문장을 이루기 위해 어떤 말이 필요하나요? 서술어가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성분의 수를 '자릿수'라 합니다. '사랑하다'는 몇 자릿수 서술어인가요? '사랑.. 2022. 8. 16.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 책 제대로 읽기 독서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정보를 얻기 위한 독서와 이해를 위한 독서가 있다. 이해를 하기 위한 독서를 위해선 첫째, 더 적극적으로 읽어야 한다. 둘째, 더 기술적으로 잘 읽어야 한다. 독서를 하면서 책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고 애쓰는 과정에서 우리의 사고력이 올라가고 생각에 깊이가 더해진다. 독서법에는 4단계가 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 깊이 있는 독서가 가능해진다. 책을 많이 읽어보지 않았거나 독서의 방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무턱대로 책을 읽어 나가지만, 책을 다 읽고도 무슨 내용인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독서를 능동적으로, 기술적으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독서의 4단계를 지키며 책을 읽으면 책의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우리의 사고력이 신장된다. 독서법 1단계: 무엇에 관.. 2022. 7. 26. 자주 틀리는 맞춤법 정리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맞춤법 1) 한글 맞춤법 규범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1. 너머 vs 넘어 ㆍ 너머는 사물의 저쪽이나 공간을 가리키는 명사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ㆍ넘어는 넘다는 동작을 의미하는 동사 산을 넘어 가는 길은 생각보다 힘든 과정이었다. 2. 어떻게 vs 어떡해 ㆍ어떻게는 문장 속에서 서술어를 꾸미는 역할을 한다. '-게'가 그런 역할을 하도록 만든다. ㆍ어떡해는 어떻게 + 해가 합쳐지고 나서 ㅎ, ㅔ 의 발음이 사라진 것이다. ㆍ 어떻(무엇이 어찌하다) - 게(부사의 역할) > 무엇을 어찌하게 ㆍ 어떻(무엇이 어찌하다) - 게 + 해(서술어 ) > 무엇을 어떻게 해(어떡해) 탈락: ㅎ, ㅔ 3. 그러므로 vs 그럼으로 ㆍ그러므로는 '떄문에'의 의미가 들어.. 2022. 7. 22. 글쓰기 차별화 전략 1. 단락의 중요성 이해하기 글쓰기의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독자의 이해를 위해 항상 '어떻게 쓸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글쓰기는 구체적인 글쓰기에서 오고, 구체적인 글쓰기를 위해서는 단락에 초점을 맞춰 글을 써야 한다. '기록'으로서의 글쓰기와 '소통'으로서의 글쓰기 글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일이나 생각을 문자로 나타낸 기록'이다. 글을 문자 기록이라고 정의하면, 글은 읽기의 대상으로만 간주되기 쉽다. 이때 글은 지식 전달의 수단으로만 전락하고 만다. 읽기 중심의 주입식 교육은 글쓰기 역시 지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의 문제로 접근하게 한다. 하지만 글의 본질은 음성 언어와 마찬가지로 소통이다. 의사소통적 관점의 글쓰기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과 상상을 덧붙여 새로운 의.. 2022. 7.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