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정보를 얻기 위한 독서와 이해를 위한 독서가 있다. 이해를 하기 위한 독서를 위해선 첫째, 더 적극적으로 읽어야 한다. 둘째, 더 기술적으로 잘 읽어야 한다. 독서를 하면서 책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고 애쓰는 과정에서 우리의 사고력이 올라가고 생각에 깊이가 더해진다.
독서법에는 4단계가 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 깊이 있는 독서가 가능해진다. 책을 많이 읽어보지 않았거나 독서의 방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무턱대로 책을 읽어 나가지만, 책을 다 읽고도 무슨 내용인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독서를 능동적으로, 기술적으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독서의 4단계를 지키며 책을 읽으면 책의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우리의 사고력이 신장된다.
독서법 1단계: 무엇에 관한 책인지 살펴보기
초보적인 독서, 1차 독서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살펴보기의 목적은 짧은 시간에 책 속에서 대략적인 주장과 근거, 책의 내용을 살펴보는 데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대충 읽기, 미리 읽기라고 볼 수 있지만 핵심은 '체계적으로 훑어보는' 기술이다. 살펴보기 단계에서 질문할 것들은 "이 책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이 책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는가?" 같은 것들이다. 이와 같은 질문을 던지기 위해 속표지나 서문, 목차, 색인, 광고문들을 읽어 저자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파악한다. 이렇게 5분만 책을 살펴봐도 책의 내용과 깊이를 가늠할 수 있고 본격적으로 읽어나갈 때 큰 도움이 된다.
1. 책을 종류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라
2. 전체 내용이 무엇인지 최대한 간략하게 요약해 보라
3. 주요 부분을 찾아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해보라
4. 저자가 풀어 가려는 문제, 주장을 분명하게 찾아내 자신의 언어로 요약해 본다.
독서법 2단계: 책을 읽으며 분석하기
앞서 책을 잘 이해하려면 능동적인 독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책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애쓸수록, 실제로 더 깊이 있는 독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독서를 위한 네 가지 질문을 던지며 본문을 읽어나가는 것이 좋다.
- 전반적으로 무엇에 관한 글인가?
-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 전반적으로, 저자의 주장은 맞는 이야기인가?
- 의의는 무엇인가?
5. 중요한 단어를 저자가 어떤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해 본다.
6. 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명제, 주장을 찾아라
7. 저자의 논증을 문장과의 연관 속에서 스스로 구성해본다.
8. 저자가 풀어낸 문제와 풀지 못한 문제를 구분하고, 풀지 못한 문제를 저자도 알고 있는지 고민해 본다.
독서법 3단계: 저자가 자신의 생각을 잘 전달하고 있는지 비평하기
책을 다 읽고 나서 독후감은 필수적이다. 책의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어야만 진정한 내 것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을 판단하기 전에 책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의 논증 구성에 대해 자신이 놓친 것이 없는지 파악하고, 책을 온전히 이해했다고 생각한다면 비평을 할 차례다. 비평은 개인적 선호와 무관한, 순수하게 객관적인 비평을 해야 한다. 객관적인 비평을 위해선 비평의 근거를 항상 따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A: 지성인으로서의 에티켓
9. 책을 완전히 이해하기 전까지 판단을 보류한다.
(의견이 같거나 다르다고 표명하기 전에 확실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10. 저자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왜 동의하지 않는지 타당한 근거를 대라.
11. 책에 대한 비평을 한다면 지식에 관한 비평을 하는지, 개인적인 견해에 관해 비평을 하는지 명확히 구분하고, 비평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라.
B: 비평할 내용의 기준
12. 저자가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을 비평한다.
13. 저자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비평한다.
14. 저자가 논리적이지 못한 부분을 비평한다.
15. 저자가 분석한 내용이나 설명이 불완전한 부분을 비평한다.
독서법 4단계: 책의 내용과 연관되는 다른 책도 비교하며 읽어보는 통합적 독서
통합적인 독서를 위해선 특정한 주제에 대해 두 권 이상의 책을 읽어야 한다. 두 권 이상의 책을 비교하려면 우선 저자의 주장과 근거를 충분히 이해해야 하고, 비슷한 주제가 무엇이 비슷하고 다른지, 그 양상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한다. 통합적 독서를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사고력은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16. 관련되는 문단을 찾아 비교ㆍ대조해보기
17. 다른 책과 중복되는 비슷한 의미의 용어들을 찾아내, 명확히 정의한다.
18. 질문을 명확히 하라
19. 핵심 Key Point, 쟁점을 명확히 규정한다.
20. 쟁점에 대한 다른 책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ㆍ분석한다.
'5분 교양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에피쿠로스 학파vs스토아학파의 철학적 논쟁 (0) | 2022.08.04 |
---|---|
본질이란 무엇인가? 플라톤vs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차이점 (0) | 2022.08.02 |
도덕의 기원, 인류는 어떻게 도덕을 진화시켰을까 (0) | 2022.07.25 |
글쓰기 차별화 전략 2. 단락의 유형 및 종류 이해하기 (0) | 2022.07.21 |
글쓰기 차별화 전략 1. 단락의 중요성 이해하기 (0) | 2022.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