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분 교양/인문

글쓰기 차별화 전략 2. 단락의 유형 및 종류 이해하기

by Gamangee 2022. 7. 21.

 단락의 유형은 크게 묘사 단락, 정의 단락, 비교ㆍ대조 단락, 분석 단락, 논증 단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락의 구성 방식에 따라 글의 설득력과 깊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락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1. 묘사 단락(Descriptive)

 

 묘사는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로 나누어진다. 

 

* 글에서 다루는 대상 및 목적에 따라 구분

 

  • 설명적 묘사: 객관적 정보나 지식을 설명시키주기는 방식. 설명과 다른 점은 구체적이고 다채로운 서술 태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 암시적 묘사: 글쓴이의 감각적 체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특유의 상상력이 동원된다는 점에서 설명적 묘사와 구분된다. 

 

* 대상에 대한 관점과 시각이 어떤지에 따라 구분

 

  • 객관적 묘사: 관점 및 시각이 객관성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자체에 주목하는 묘사 방식이다. 
  • 주관적 묘사: 객관적 사실보다 글쓴이의 주관적 의견이나 판단, 감각적 체험이 강조되는 묘사 방식이다.

 

2. 정의 단락(Definition)

 

 정의란 핵심 개념 또는 대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거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의가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했는지를 반영하는 '~어떠어떠하다'의 내용이 얼마나 이치에 맞게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는지 단락의 연결성과 구체성을 확인해보아야 한다. 정의의 대상 자체를 어떻게 판단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꽃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의 가지나 줄기 끝에 예쁜 색깔과 모양으로 피어나는 부분
  2. 젊고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식물에서 씨를 만들어 번식 기능을 수행하는 생식 기관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전적 정의가 아니라 꽃의 기능과 관계적 특성이다. 이런 접근법을 취하면 꽃은 여러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1. 꽃을 보고 느끼는 감각
  2. 꽃의 주요 특징과 다른 사물과의 유사 관계
  3. 꽃의 기능적 측면

 이렇게 새로운 관점으로 보기 위해 정의를 잘 적용하는 방법들이 있다.

 

  1. 대상이 지닌 속성에 주목하라(확장된 정의)
  2.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하라(자유로운 연상)
  3. 화제 전환 및 중심 내용 강화(정의를 통해 밝혀낸 대상 간 유사성을 이용해 새로운 관점으로 화제 전환)

 

3, 비교ㆍ대조 단락(Comparison/Contrast)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속으로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다. 특정 대상의 중요 의미와 속성을 쉽게 발견해내는 좋은 방법이 바로 비교와 대조다. 비교ㆍ대조는 탐구하려는 대상을 다른 대상과 견주어 핵심적 특징을 발견해내는데, 이때 유사성에 근거하면 비교, 차이성에 근거하면 대조의 사고방식이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비교ㆍ대조에 필요한 절차

 

  • 명확한 기준 제시: 사물을 바라보는 기준에 따라 판단 결과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며, 새로운 의미가 발견되기도 한다. 

 

  • 설득력 있는 논거 찾기: 추상적인 대상을 피하고,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대상끼리 비교한다. 잘 알려져 있는 대상일수록 명증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득력 있는 논거로 받아들여지기 쉽다. 

 

4. 분석 단락(Analysis)

 

 분석이란 특정 대상이나 현상, 개념을 잘게 나누어 사고하는 것을 뜻한다. 분석은 전체 구조를 부분적 요소로 나누어 사고하는 방식, 어떤 결과의 수행 과정을 세분화시켜 이해하는 방식, 특정 현상의 원인을 찾고 그 결과를 단계적으로 연관시켜 추론하는 방식 등이 있다.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의미 단위와 분석 방향을 분명히 세워라

 - 개념적 분석: 관념적 사고와 논리적인 증명이 필요할 떄, 의미 맥락과 방향을 적용해 대상을 분석하는 개념적 분석 방식이 있다.

 - 물리적 분석: 외형적 측면에서 전체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세분화해 분석하는 방식이다. 

 

  • 원인을 찾았다면 거기에 설명을 붙여라

 - 인과적 분석 방식은 논리 전개 과정 중 나타난 문제가 없는지 판별하는 시간적 사고 축과 부분적 요소의 배치 관계에 주목하는 공간적 사고의 축으로 나뉠 수 있다. 

 

5. 논증 단락(Argument)

 

 논증이란 주장에 대한 충분한 이유 및 근거를 밝히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글의 타당성과 객관성 등 설득에 필요한 제반 요건은 논증이 얼마나 합리적으로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 논증 구성 체크리스트 

  1. 얼마나 합리적인 명제를 수립했는가
  2. 얼마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가
  3. 주장을 이끌어내는 추론 과정이 얼마나 이치에 맞는가
  4. 논증 과정에서 오류가 나타나지 않는가

 

 * 논증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1. 수와 가치를 따져라
  2. 선택과 집중은 글을 명확하게 한다
  3. 반론을 적극 활용하라
  4. 인용은 설득력을 높여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