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2 mbti보다 더 나를 잘 알려주는 성격 심리학, Big Five(성실성, 친화성, 개방성) 성격 차이는 뇌 구조와 뇌 기능에서 유래된다. 뇌의 조직과 조절 작용은 뇌의 크기와 구조, 기초 활동 대사, 특정 과제별로 다르게 활성화된다. 자극에 반응하여 성격적 행동이 나타나는 개인의 역치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심리적 메커니즘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를 성격 차이로 볼 수 있다. 성실성 성실성은 어떤 목표나 원칙을 위해 쾌락과 자극의 즉각적인 만족을 억제하는 전두엽 메커니즘의 반응성(활성화)이 나타나는 정도를 말한다. 전두엽의 전전두피질은 충동을 제어하는 등 자극에 대한 반응을 매개한다. 도박중독자처럼 전전두피질이 비활성화되면 충동을 억제하는 데 실패한다. 성실하고 이성적인 사람들은 전전두엽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큰 사람들이다. 흔히 노력으로 대변되는 성실성은 긍정적으로만 생각되.. 2022. 7. 27. 사회적, 정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낮은 이유 광화문과 종로에선 매일 시위와 집회가 벌어진다. 정치적 이슈를 두고 보수와 진보 간 몸싸움도 자주 벌어진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 모두 상대방 정당과 지지자들의 어리석음과 위선을 조롱한다. 보수와 진보는 왜 그렇게 서로를 미워할까? 같은 주제에 대해 왜 그렇게 입장 차가 크고, 서로를 이해하지 못할까? 자신들이 틀렸다는 생각은 절대 못 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는 서로가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 틀렸다고 믿는다.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어디를 가나 정치인들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싸운다. 한국 말고도 정치인들의 멱살잡이는 흔하게 볼 수 있다. 인종과 문화, 국가를 막론하고 보수와 진보는 서로를 싫어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의 이념과 논리체계는 너무나 탄탄해서 토론은 절대 합의에 도달하.. 2022. 7.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