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분 교양30

사회적, 정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낮은 이유 광화문과 종로에선 매일 시위와 집회가 벌어진다. 정치적 이슈를 두고 보수와 진보 간 몸싸움도 자주 벌어진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 모두 상대방 정당과 지지자들의 어리석음과 위선을 조롱한다. 보수와 진보는 왜 그렇게 서로를 미워할까? 같은 주제에 대해 왜 그렇게 입장 차가 크고, 서로를 이해하지 못할까? 자신들이 틀렸다는 생각은 절대 못 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는 서로가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 틀렸다고 믿는다.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어디를 가나 정치인들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싸운다. 한국 말고도 정치인들의 멱살잡이는 흔하게 볼 수 있다. 인종과 문화, 국가를 막론하고 보수와 진보는 서로를 싫어하는 것 같다. 보수와 진보의 이념과 논리체계는 너무나 탄탄해서 토론은 절대 합의에 도달하.. 2022. 7. 23.
자주 틀리는 맞춤법 정리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맞춤법 1) 한글 맞춤법 규범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1. 너머 vs 넘어 ㆍ 너머는 사물의 저쪽이나 공간을 가리키는 명사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ㆍ넘어는 넘다는 동작을 의미하는 동사 산을 넘어 가는 길은 생각보다 힘든 과정이었다. 2. 어떻게 vs 어떡해 ㆍ어떻게는 문장 속에서 서술어를 꾸미는 역할을 한다. '-게'가 그런 역할을 하도록 만든다. ㆍ어떡해는 어떻게 + 해가 합쳐지고 나서 ㅎ, ㅔ 의 발음이 사라진 것이다. ㆍ 어떻(무엇이 어찌하다) - 게(부사의 역할) > 무엇을 어찌하게 ㆍ 어떻(무엇이 어찌하다) - 게 + 해(서술어 ) > 무엇을 어떻게 해(어떡해) 탈락: ㅎ, ㅔ 3. 그러므로 vs 그럼으로 ㆍ그러므로는 '떄문에'의 의미가 들어.. 2022. 7. 22.
글쓰기 차별화 전략 2. 단락의 유형 및 종류 이해하기 단락의 유형은 크게 묘사 단락, 정의 단락, 비교ㆍ대조 단락, 분석 단락, 논증 단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락의 구성 방식에 따라 글의 설득력과 깊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락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1. 묘사 단락(Descriptive) 묘사는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로 나누어진다. * 글에서 다루는 대상 및 목적에 따라 구분 설명적 묘사: 객관적 정보나 지식을 설명시키주기는 방식. 설명과 다른 점은 구체적이고 다채로운 서술 태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암시적 묘사: 글쓴이의 감각적 체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특유의 상상력이 동원된다는 점에서 설명적 묘사와 구분된다. * 대상에 대한 관점과 시각이 어떤지에 따라 구분 객관적 묘사: 관점 및 시각이 객.. 2022. 7. 21.
글쓰기 차별화 전략 1. 단락의 중요성 이해하기 글쓰기의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독자의 이해를 위해 항상 '어떻게 쓸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글쓰기는 구체적인 글쓰기에서 오고, 구체적인 글쓰기를 위해서는 단락에 초점을 맞춰 글을 써야 한다. '기록'으로서의 글쓰기와 '소통'으로서의 글쓰기 글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일이나 생각을 문자로 나타낸 기록'이다. 글을 문자 기록이라고 정의하면, 글은 읽기의 대상으로만 간주되기 쉽다. 이때 글은 지식 전달의 수단으로만 전락하고 만다. 읽기 중심의 주입식 교육은 글쓰기 역시 지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의 문제로 접근하게 한다. 하지만 글의 본질은 음성 언어와 마찬가지로 소통이다. 의사소통적 관점의 글쓰기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과 상상을 덧붙여 새로운 의.. 2022. 7. 20.